Unit 4. Why music?

Unit 4. Why music?

Biologists are addressing one of humanity's strangest attributes, its all-singing, all-dancing culture.

 

"If music be the food of love, play on, give me excess of it." And if not? Well, what exactly is it for?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music is a big part of the economy. The first use to which commercial recording, in the form of Edison's phonographs, was to bring music to the living rooms and picnic tables of those who could not afford to pay live musicians. Today, people are so surrounded by other people's music that they take it for granted, but as little as 100 years ago singsongs at home, the choir in the church and fiddlers in the pub were all that most people heard.

 

만일 음악이 사랑의 양분이라면, 음악을 즐기고 음악과 함께 춤을 추어라. 만일 그렇지 않다면, 과연 음악은 무엇을 위한 것일까? 음악의 창조와 소비는 경제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최초의 상업적 녹음은 에디슨의 축음기 형식으로, 음악가들에게 돈을 지불할 여유가 없는 이들의 거실이나 소풍 테이블에 음악을 가져오기 위함이었다. 오늘날, 사람들은 다른 이들의 음악에 둘러싸여 이것을 당연하게 여기지만, 100년 전까지만 해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들었던 것들은 가정 음악회나 교회의 성가대, 술집의 바이올린 연주들이었다.

 

Other appetites, too, have been sated even to excess by modern business. Food far beyond the simple needs of stomachs, and sex (or at least images of it) far beyond the needs of reproduction, bombard the modern man and woman, and are eagerly consumed. But these excesses are built on obvious appetites. What appetite drives the proliferation of music to the point where the average American teenager spends 11/2-21/2 hours a day- an eighth of his waking life-listening to it?

 

다른 욕구들 또한 현대 사업에 의해 충족되었다. 단순한 요구를 넘어선 음식, 번식의 필요를 넘어선 성관계(혹은 최소한 그 영상)가 현대 남성과 여성들에게 쏟아졌으며, 열심히 소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과도함에는 명백한 욕구가 전제되어있다. 어떠한 욕망이 미국 십대들이 일일 평균 1시간 반~2시간 반, 즉 깨어있는 시간의 1/8을 소비하도록 음악을 확산시켰을까?

 

Well, that fact-that he, or she, is a teenager-supports one hypothesis about the function of music. Around 40% of the lyrics of popular songs speak of romance, sexual relationships and sexual behavior. The Shakespearean theory, that music is at least one of the foods of love, has a strong claim to be true. The more mellifluous the singer, the more dexterous the harpist, the more mates he attracts.

 

그들이 십대라는 사실이 음악의 기능에 관한 하나의 가설을 뒷받침한다. 인기 가요의 40% 정도의 가사가 로맨스, 성적 관계나 행동을 노래한다. 음악이 사랑의 양식이라는 셰익스피어의 견해는 진실이라고 강력히 주장한다. 더 감미로운 목소리의 가수, 더 솜씨 좋은 하프 연주자일수록 더 많은 짝을 매료시킨다.

 

A second idea that is widely touted is that music binds groups of people together. The resulting solidarity, its supporters suggest, might have helped bands of early humans to thrive at the expense of those that were less musical. Both of these ideas argue that musical ability evolved specifically-that it is, if you like, a virtual organ as precisely crafted to its purpose as the heart on the spleen. The third hypothesis, however, is that music is a cross between an accident and an invention. It is an accident because it is the consequence of abilities that evolved for other purposes. And it is an invention because, having thus come into existence, people have bent it to their will and made something they like from it.

 

널리 알려진 두 번째 의견은 음악이 사람들을 한 무리로 결속시킨다는 것이다. 이 의견의 지지자들은 연대의식이 초기의 인간 무리들이 덜 음악적이었던 이들을 희생하여 번성하는 것을 도왔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양측 의견 모두 음악적 능력이 특별히 발전되었을 거라고 주장한다. , 말하자면 심장이나 비장과 같은 목적에 따라 꼼꼼하게 만들어진 가상 기관과 같다. 그러나 세 번째 가설은 음악이 사고와 발명의 혼합물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다른 목적으로 발전했던 능력의 결과이므로 사고이다. 그리고 사람들이 이로부터 그들이 좋아하는 것을 만들도록 하면서 생겨났기 때문에 발명이기도 하다.

 

She loves you

Shakespeare's famous quote was, of course, based on commonplace observation. Singing, done well, is certainly sexy. But is its sexiness the reason it exists? Chales Darwin thought so. Twelve years after he published On the origin of species, which described the idea of natural selection, a second book hit the presses. The Descent of Man and Selection in Relation to Sex suggested that the need to find a mate being the pressing requirement that it is, a lot of the features of any given animal have come about not to aid its survival, but to aid its courtship. The most famous example is the tail of the peacock. But Darwin suggested human features, too, might be sexually selected in this way-and one of those he lit on was music.

 

셰익스피어의 유명한 구절은 물론 평범한 관찰을 근거로 한다. 잘 부른 노래는 확실히 매력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매력이 음악이 존재하는 이유일까? 찰스 다윈은 그렇다고 여겼다. 자연 도태의 개념을 설명한 종의 기원을 출간한지 12년 후에 그의 두 번째 저서가 언론에 보도되었다. 인류의 유래와 성 선택은 짝을 찾아야 하는 필요성이 긴급한 요건이 되면서 대부분의 동물들이 가진 많은 특징들은 생존을 위해서가 아니라 구애를 돕기 위해 생겨났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공작새의 꼬리이다. 그러나 다윈은 인간의 특징 또한 이런 식으로 선택 되었으며 그가 발견한 것 중 하나는 음악이었다고 주장한다.

 

In this case, unlike that of natural selection, Darwin's thinking did not set the world alight. but his ideas were revived recently by Geoffrey Miller, an evolutionary biologist who works at the University of New Mexico. Dr Miller starts with the observations that music is a human universal, that it is costly in terms of time and energy to produce, and that it is, at least in some sense, under genetic control. About 4% of the population has "amusia" of one sort of another, and at least some types of amusia are known to be heritable. Universality, costliness and genetic control all suggest that music has a clear function in survival or reproduction, and Dr Miller plumps for reproduction.

 

이 경우, 자연 도태와 달리, 다윈의 의견은 세상을 불태우지 못했다. 그러나 그의 의견은 최근 뉴멕시코 대학에서 일하는 진화 생물학자, Geoffrey Miller에 의해 되살아났다. Miller 박사는 음악이 인간의 보편적 특성이라는 관찰을 시작했다. 이것은 실행하는데 시간과 에너지 측면에서 희생이 크며 어떤 의미에서는 유전적으로 제어되고 있다. 인구의 약 4%가 음치이며, 몇 가지의 음치는 유전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보편성, 사치, 유전적 통제는 모두 음악이 생존과 번식에 있어 명백한 기능을 가진다는 것을 보이며, Miller 박사는 번식 설을 지지한다.

 

One reason for believing this is that musical productivity-at least among the recording artists who have exploited the phonograph and its successors over the past hundred years or so- seems to match the course of an individual's reproductive life. In particular, Dr Miller studied jazz musicians. He found that their output rises rapidly after puberty, reaches its peak during young-adulthood, and then declines with age and the demands of parenthood.

 

이것을 믿는 이유 중 하나는 음악의 생산력이 최소한 지난 100년간의 음반 예술가와 그의 후원자 사이에서라도 개인의 번식 생활의 과정과 일치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MIller 박사는 재즈 음악가를 연구했다. 그는 그들의 생산이 사춘기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여 청년기에 절정에 달한 뒤, 나이가 들면서 부모로서의 요구와 함께 감소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As is often the case with this sort of observation, it sounds unremarkable; obvious, even. But uniquely human activities associated with survival-cooking, say-do not show this pattern. People continue to cook at about the same rate from the moment that they have mastered the art until the moment they die or are too decrepit to continue. Moreover, the anecdotal evidence linking music to sexual success is strong. Dr Miller often cites the example of Jimi Hendrix, who had sex with hundreds of groupies during his brief life and, though he was legally unmarried, maintained two long-term liaisons. The words of Robert Plant, the lead singer of Led Zeppelin, are also pertinent: "I was always on my way to love. Always. Whatever road I took, the car was heading for one of the greatest sexual encounters I've ever had."

 

그러나 독특하게도, 생존과 관련된 인관 활동은 이러한 형식을 보이지 않는다. 사람들은 숙달된 순간부터 죽을 때, 혹은 지나치게 노쇠할 때까지 요리를 계속한다. 더욱이, 음악과 성관계의 성공을 연결 짓는 입증되지 않은 증거가 있다. MIller 박사는 법적으로 미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두 가지 장기간의 불륜을 유지했던 수많은 팬들과 관계를 맺은 Jimi hendrix의 예를 들곤 한다. Led zeppelin의 리드 싱어인 Robert Plant의 말은 또한 이와 관련되어있다: "나는 언제나 사랑을 향할 뿐이다. 항상. 어느 길을 가든 차는 하나의 성적 접촉을 향할 뿐이다."

 

Another reason to believe the food-of-love hypothesis is that music fulfills the main criterion of a sexually selected feature: it is an honest signal of underlying fitness. Just as unfit peacocks cannot grow splendid tails, so unfit people cannot sing well, dance well (for singing and dancing go together, as it were, like a horse and carriage) or play music well. All of these activities require physical fitness and dexterity. Composing music requires creativity and mental agility. Put all of these things together and you have a desirable mate.

 

사랑의 양식 가설을 믿는 또 다른 이유는 음악이 성적으로 선택된 특징의 기준을 실현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기본적인 건강의 정직한 신호이다. 건강하지 못한 공작새가 멋진 꼬리를 가질 수 없듯이 건강하지 못한 사람도 노래를 잘 하거나 춤을 잘 추거나 음악을 잘 연주할 수 없다. 이러한 활동들은 모두 신체적 건강과 재주를 필요로 한다. 음악을 작곡하는 것은 창의력과 정신적 경쾌함을 필요로 하며 이러한 것들을 하나로 모으면 매력적인 짝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Improve your sining...

A third reason to believe it is that music, or something very like it, has evolved in other species, and seems to be sexually selected in those species, too. Just as the parallel evolution of mouse-like forms in marsupial and placental mammals speaks of similar ways of life, so the parallel evolution of singing bird, whaled and gibbons, as well as humans, speaks of a similar underlying function. And females of these animals can be fussy listeners. It is known from several species of birds, for example, that females prefer more complex songs from their suitors, putting males under pressure to evolve the neurological apparatus to create and sing them.

 

이 가설을 믿는 세 번째 이유는 음악, 혹은 그가 유사한 어떤 것이 다른 종족에서 발전했으며 그 종족에서도 자웅 선택된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생쥐 형태의 유대류의 평행 진화와 태반류의는 유사한 삶의 방식을 증명하며, 새들의 노래의 평행 진화, 인간뿐만 아니라 고래와 긴팔원숭이까지도 유사한 근본적 기능을 증명한다. 그리고 이러한 동물들의 암컷은 예민한 청취자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종류의 새들은 구혼자들로부터 더욱 복잡한 노래를 선호하며 수컷들이 노래를 창조하고 부르기 위해 신경 기관을 진화시키도록 압력을 준다.

 

And yet, and yet. Though Dr Miller's arguments are convincing, they do not feel like the whole story. A man does not have to be gay to enjoy the music of an all-male orchestra, even if he particularly appreciates the soprano who comes on to sing the solos. A woman, meanwhile, can enjoy the soprano even while appreciating the orchestra on more than one level. Something else besides sex seems to be going on.

 

Miller 박사의 주장이 설득력 있을 지라도, 그것이 전부라고 느껴지지는 않는다. 솔로를 부르기 위해 등장하는 소프라노만을 인식할 지라도 남성 오케스트라의 음악을 감상하기 위해 동성애자가 될 필요가 없다. 반면에 여성은 그 이상의 오케스트라를 감상하면서 소프라노 또한 즐길 수 있다. 성별 이상의 무엇인가가 계속되는 듯하다.

 

The second hypothesis for music's emergence is that it had a role not just in helping humans assess their mates, but also in binding bandsd of people together in the evolutionary past. Certainly, it sometimes plays that role today. It may be unfashionable in Britain to stand for the national anthem, but two minutes watching the Last Night of the Proms, an annual music festival, on television will serve to dispel any doubts about the ability of certain sorts of music to instill collective purpose in a group of individuals. In this case the cost in time and energy is assumed to be repaid in some way by the advantages of being part of a successful group.

 

음악의 부상에 관한 두 번째 가설은 음악이 단지 인간들이 서로의 짝을 평가하는 것을 돕는 역할 뿐만 아니라 사람들을 무리로 결속시키는 역할 또한 한다는 것이다. 확실히, 오늘날 음악은 그런 역할을 한다. 영국에서는 국가를 위해 일어나는 것은 인기가 없을 테지만, 프롬의 마지막 밤의 2분을 보면 개체 집단에게 공동 목적을 주입하는 특정 음악의 능력에 대한 어떠한 의심도 떨쳐버릴 것이다. 이 경우에 시간과 노력은 어떤 방법으로든 성공한 집단의 일부가 되는 이점으로 보답 받을 것으로 추측된다.

 

The problem with this hypothesis is that it relies on people not cheating and taking the benefits without paying the costs. One way out of that dilemma is to invoke a phenomenon known to biologists as group selection. Biologically, this is a radical idea. It requires the benefits of solidarity to be so great that groups lacking them are often extinguished en bloc. Though theoretically possible, this is likely to be rare in practice. However, some researchers have suggested that the invention of weapons such as spears and bows and arrows made intertribal warfare among early humans so lethal that group selection did take over. It has been invoked, for example, to explain the contradictory manifestations of morality displayed in battle: tenderness towards one's own side; ruthlessness towards the enemy. In this context the martial appeal of some sorts of music might make sense.

 

이 가설의 문제점은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이익을 얻는 사람들에게 의존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딜레마에서 빠져나올 방법은 생물학자들에게 군 선택이라고 알려진 현상을 일으키는 것이다. 생물학적으로 이것은 급진적인 생각이다. 이는 결속의 혜택이 결핍된 집단이 일괄적으로 소멸되기를 필요로 한다. 이론상으로는 가능할지라도, 이것은 실제로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그러나 어떤 연구자들은 창, , 화살과 같은 무기의 발명이 초기 인간의 종족 분쟁을 치명적으로 만들었고 군 선택이 이를 이어받았다. 예를 들어, 이것은 서로에 대한 상냥함, 적에 대한 무자비함처럼 전쟁에서 모순된 도덕의 명시를 설명하기 위해 초래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어떤 종류의 음악이 가지는 전쟁의 매력은 이해가 될 것이다.

 

Robin Dunbar of Oxford University does not go quite that far, but unlike Dr Miller he thinks that the origins of music need to be sought in social benefits of group living rather than the sexual benefits of seduction. He does not deny that music has gone on to be sexually selected (indeed one of his students, Konstantinos Kaskatis, has shown that Dr Miller's observation about jazz musicians also applies to 19th century classical composers and contemporary pop singers). But he does not think it started that way.

 

옥스퍼드 대학의 Robin Dunbar는 극단적이지는 않았지만 Miller 박사와 달리 그는 음악의 기원이 성적 유혹의 이점 보다는 집단생활의 사회적 이점에서 추구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는 음악이 성적으로 선택되어져 왔다는 것을 부정하지는 않는다.(실제로, 그의 학생 중 한 명이었던 Konstantinos KaskatisMiller 박사의 재즈 음악가에 대한 관찰이 또한 19 세기 고전 작곡가와 현대 대중 가수들에게도 적용된다는 것을 보였다) 그러나 그는 이것이 그런 방식으로 시작되었다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 and your grooming

Much of Dr Dunbar's career has been devoted to trying to explain the development of sociality in primates. He believes that one of the things that binds groups of monkeys and apes together is grooming. One the face of it, grooming another animal is functional. It keeps the pelt clean and removes parasites. But it is an investment in someone else's well-being, not your own. Moreover, animals often seem to groom each other for far longer than is strictly necessary to keep their fur pristine. That time could, in principle, be used for something else. Social grooming, rather like sexual selection, is therefore a costly(and thus honest) signal. In this case though, that signal is of commitment to the group rather than reproductive prowess.

 

dunbar박사의 대부분의 경력은 영장류의 사회성의 발전을 설명하기 위해 바쳐졌다. 그는 원숭이와 유인원 무리를 하나로 모으는 것들 중 하나가 털 고르기라고 믿었다. 표면적으로는 다른 동물의 털 손질을 해주는 것은 실용적이다. 가죽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기생충을 제거한다. 그러나 자신이 아닌 다른 이의 행복을 위한 투자이다. 게다가, 동물들은 털을 깨끗이 유지하는데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시간동안 서로의 털을 손질하는 듯하다. 원칙적으로, 이 시간은 다른 어떤 것을 위해 사용된다. 무리의 털 고르기는 자웅선택 과 꽤 유사하며, 따라서 대가가 큰 (따라서 정직한) 신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경우에 이 신호는 번식 행위보다 집단에 대한 헌신이다.

 

Dr Dunbar thinks language evolved to fill the role of grooming as human tribes grew too large for everyone to be able to groom everyone else. This is a controversial hypothesis, but it is certainly plausible. The evidence suggests, however, that the need for such "remote grooming" would arise when a group exceeds about 80 individuals, whereas human language really got going when group sizes har risen to around 140. His latest idea is that the gap was bridged by music, which may thus be seen as a precursor to language.

 

Dunbar 박사는 인간 부족이 서로를 손질해 줄 수 없을 정도로 크게 자라면서 언어가 손질의 역할을 충족시키기 위해 발전했다고 여긴다. 이것은 논쟁이 많은 가설이지만 확실히 이치에 맞다. 그러나 이 증거는 이러한 "원격 그루밍"의 필요는 개체가 80을 넘어선 후 생겨날 것이라고 주장한다. 반면에 인간의 언어는 집단의 크기가 약 140 정도로 증가해야 지속적일 수 있다. 최근 그의 생각은 이 차이가 음악에 의해 이어졌고 따라서 언어의 효시로 보일 수 있다.

 

The costliness of music-and of the dancing associated with it-is not in doubt, so the idea has some merit. Moreover, the idea that language evolved from wordless singing is an old one. And, crucially, both singing and dancing tend to be group activities. That does not preclude their being sexual. Indeed, showing off to the opposite sex in groups is a strategy used by many animals (it is known as lekking). But it may also have the function of using up real physiological resources in a demonstration of group solidarity.

 

음악과 이와 관련된 춤의 고비용은 의심의 여지가 없으며 이 생각은 약간의 가치가 있다. 게다가 언어가 가사가 없는 노래에서 발전되었다는 것은 오래된 생각이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노래와 춤은 집단 활동이 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이 그들을 매력적이지 않게 지는 않는다. 실제로 집단 내에서 이성에게 과시하는 것은 많은 동물들에게 사용되는 전략이다(성적 과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는 또한 집단 연대의식의 실증으로 실제 생리적 원소를 소모하는 기능을 할 수 도 있다.

 

By side-stepping the genocidal explanations that underlie the classical theory of group selection, Dr Dunbar thinks he has come up with an explanation that accounts for music's socially binding qualities without stretching the limits of evolutionary theory. Whether it will pass the mathematical scrutiny which showed that classical group selection needs genocide remains to be seen. But if music is functional, it may be that sexual selection and social selection have actually given each other a helping hand.

 

집단 선택에 대한 고전적인 이론을 강조하는 집단 학살에 관한 설명을 회피하며 Dunbar 박사는 그가 진화 이론의 한계를 늘이는 일 없이 음악의 사회적 결속을 해명하는 설명을 찾아냈다고 생각한다. 고전적 집단 선택이 집단 학살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밝힌 수학적 검토를 통과할 수 있을지의 여부는 두고 봐야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만일 음악이 기능적이라면 자웅 선택과 사회적 선택이 실제로 서로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The third hypothesis, though, is that music is not junctional, and also that Dr Dunbar has got things backward. Music did not lead to language, language led to music in what has turned out to be a glorious accident-what Stephen Jay Gould called a spandrel, by analogy with the functionless spaces between the arches of cathedrals that artists then fill with paintings. This is what Stepan Pinker, a language theorist at Harvard, thinks. He once described music as auditory cheesecake and suggested that if it vanished from the species little else would change.

 

그럼에도 세 번째 가설은 음악은 기능적이지 않다는 것이며 또한 Dunbar 박사는 모든 것을 퇴보시켰다. 음악이 언어를 야기하지 않으며, 언어가 음악을 영광스러운 사건으로 인도한다. Stephen Jay Gould 는 이것을 삼각 소간이라고 불렀다. 대성당의 아치 사이 화가들이 그림으로 채워 놓았던 기능 없는 공간을 비유하여, 이것은 하버드의 언어 이론가인 Steven Pinker이 생각하는 바이다. 그는 일전에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치즈 케이크로 묘사했으며 이것이 종족으로부터 사라진다고 해도 변화는 거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Dr Pinker's point is that like real cheesecake, music sates an appetite that nature cannot. Human appetites for food evolved a time when the sugar and fat which are the main ingredients of cheesecake were scarce. In the past, no one would ever have found enough of either of these energy-rich foods to become obese, so a strong desire to eat them evolved together little limit beyond a full stomach to stop people eating too much. So it is with music. A brain devoted to turning sound into meaning is tickled by an oversupply of tone, melody and rhythm. Singing is auditory masturbation to satisfy this craving. Playing musical instruments is auditory pornography. Both sate an appetite that is there beyond its strict biological need. Of course, it is a little more complicated than that. People do not have to be taught to like cheesecake or sexy pictures (which, in a telling use of the language, are sometimes also referred to as "cheesecake"). They do, however, have to be taught music in a way that they do not have to be taught language.

 

Pinker 박사의 요점은, 실제 치즈 케이크처럼 음악도 자연이 할 수 없는 욕망을 충족시킨다는 것이다. 인간의 음식에 대한 욕구는 치즈 케이크의 주재료인 설탕과 지방이 부족할 때 진전된다. 과거에는 아무도 이러한 고 에너지 식품을 찾은 적이 없었고 따라서 이것들을 섭취하고자 하는 강한 열망이 발달했으며 과식하지 않기 위한 한계는 함께 발달하지 못했다. 그래서 음악인 것이다. 소리를 의미로 전환하는데 몰두하는 뇌는 과다한 음조와 선율과 리듬으로 만족된다. 노래는 이러한 열망을 충족시키기 위한 청각적 자위행위이다. 악기를 연주하는 것은 청각적 외설물이다. 둘 다 엄격한 생물학적 요구를 넘어선 욕망을 충족시킨다. 물론, 그보다는 좀 더 복잡하다. 사람들은 치즈케이크나 성적인 그림들(효과적인 언어의 사용에 있어서 때로는 "치즈케이크"라고 언급되기도 한다)을 좋아하도록 배울 필요가 없다. 그러나 그들은 언어를 가르치기 위해서 하지 않는 방법으로 음악을 배워야 한다.

 

Words and music

Aniruddh patel, of the neurosciences institute in san diego, compares music to writing, another widespread cultural phenomenon connected with language. True language-the spoken languages used by most people and the gestural languages used by the deaf-does not have to be taught in special classes. The whole of a baby's world is its classroom. It is true that parents make a special effort to talk to their children, but this is as instinctive as a young child's ability(lost in his early teens) to absorb the stuff and work out its rules without ever being told them explicitly.

 

샌디에이고의 신경과학 협회의 Aniruddh patel은 언어와 관련된 광범위한 문화적 현상 중 하나인 작문과 음악을 비교한다. 진정한 언어는 대부분의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는 언어와 청각 장애인이 사용하는 몸짓 언어이며 특별한 수업을 통해 배워야할 필요가 없다. 어린아이의 세상은 전체가 교실이다.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말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들이는 것은 사실이지만 어린 아이들이 명백히 듣지 않고 이를 흡수하고 스스로 이해하는 능력은 본능적인 것이다(십대 초반에 상실한다).

 

Learning to write, by contrast, is a long-winded struggle that many fail to master even if given the opportunity. Dyslexia, in other words, is common. Moreover, reading and writing must actively be taught, usually by specialists, and evidence for a youthful critical period when this is easier than otherwise is lacking. Both, however, transform an individual's perception of the word, and for this reason Dr Patel refers to them as "transformative technologies".

 

이와는 작문을 배우는 것은 많은 이들이 기회가 주어지더라도 숙달하는 데 실패하는 장황한 투쟁이다. , 난독 증은 흔하다. 더욱이 읽기와 쓰기는 전문가에게 적극적으로 가르침을 받아야 하며 이것이 다른 때보다 청소년 시기에 훨씬 쉬운 중요한 시기라는 것에 대한 증거는 부족하다. 그러나 둘 다 개인의 세계관을 변형시키며 이런 이유로 Patel 박사는 그것들을 "전환 기술"이라고 언급한다.

 

In difficulty of learning, music lies somewhere in between speaking and writing. Most people have some musical ability, but it varies far more than their ability to speak. Dr Patel sees this as evidence to support his idea that music is not an adaptation in the way that language is but is, instead, a transformative technology. However, that observation also supports the idea that sexual selection is involved, since the whole point is that not everyone will be equally able to perform, or even to learn how to do so.

 

배움의 어려움에 있어 음악은 말하기와 쓰기의 중간쯤에 놓여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음악적 재능을 가지고 있지만 말하기 능력 보다 훨씬 다양하다. Patel 박사는 이것을 음악이 언어의 적응 방식이 아니라 전환 기술이라는 의견을 지지하는 증거로 여겼다. 그러나 이러한 관찰은 또한 자웅 선택이 관련되었다는 의견을 지지한다. 왜냐하면 요즘이 모두가 동등하게 수행 가능하지 않을 뿐 아니라, 심지어는 동등하게 배우지도 못한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Do they know it's Christmas?

What all of these hypotheses have in common is the ability of music to manipulate the emotions, and this is the most mysterious part of all. That some sounds lead to sadness and others to joy is the nub of all three hypotheses. The singing lover is not merely demonstrating his prowess; he also seeks to change his beloved's emotions. Partly, that is done by the song's words, but pure melody can also tug at the heart-strings. The chords of martial music stir different sentiments. A recital of the Monteverdi Vespers or a Vivaldi concerto in St mark's cathedral in Venice, the building that inspired Gould to think of the non-role of spandrels, generates emotion pure and simple, disconnected from human striving. This is an area that is only beginning to be investigated. Among the pioneers are Patrik Juslin, of Uppsala University, and Daniel Vastfjall, of Gothenburg University, both in Sweden. They believe they have identified six ways that music affects emotion, from triggering reflexes in the brain stem to triggering visual images in the cerebral cortex.

 

이 모든 가설들이 공통으로 하는 것은 음악의 감정 조정 능력이며 이것은 가장 불가사의한 부분이다. 어떤 것은 슬프게 하고 어떤 것은 즐거움으로 이끄는 것은 세 가설 모두의 요점이다. 노래를 좋아하는 사람은 단지 기량을 과시하는 것이 아니라 또한 연인의 감정을 바꾸려 하는 것이다. 어느 정도는 노래의 가사에 의한 것이지만 순수한 선율도 심금을 울릴 수 있다. 군악의 화음은 각양각색의 감정을 유발한다. 몬테베르디의 저녁기도의 발표회나 Gould가 삼각 소근의 역할 없음을 떠올릴 수 있도록 영감을 주었던 베니스 St Mark's 대성당에서의 비발디 콘서트는 인간의 노력과 동떨어진 순수하고도 단순한 감정을 만들어낸다. 그들은 음악이 뇌간의 반사 작용을 유발하는 것부터 대뇌 피질에 시각적 영상을 유발하는 것까지, 감정에 영향을 주는 여섯 가지 방법을 발견했다고 확신한다.

 

Such a multiplicity of effects suggests music may be an emergent property of the brain, cobbled together from bits of pre-existing machinery and then, as it were, fine-tuned. So, ironically, everyone may be right-or, at least partly right. Dr Pinker may be right that music was originally an accident and Dr Patel may be right that it transforms people's perceptions of the world without necessarily being a proper biological phenomenon. But Dr Miller and Dr Dunbar may be right that even if it originally was an accident, it has subsequently been exploited by evolution and made functional.

 

이러한 영향의 다양성은 음악이 이전부터 존재하던 조직으로부터 수선된, 말하자면 미세 조정된 뇌의 새로운 속성이 될 것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따라서 역설적이게도 모두가 옳을 것이다. 최소한 부분적으로라도. Pinker 박사는 음악이 본래 사고였다는 것이 옳았을 수도 있고 Patel 박사는 이것이 적절한 생물학적 현상 없이 사람들의 세계관을 바꾼다는 점에서 옳았을 수도 있다. 그러나 Miller 박사와 Dunbar 박사는 음악이 본래는 사고였지만, 그 후에는 진화에 의해 이용되었으며 기능적이 되었다는 점에서 옳을 수도 있다.

 

Part of that accident may be the fact that many natural sounds evoke emotion for perfectly good reasons (fear at the howl of a wolf, pleasure at the sound of gently running water, irritation and mother-love at the crying of a child.) Sexually selected features commonly rely on such pre-existing perceptual biases. It is probably no coincidence, for instance, that peacocks' tails have eyespots; animal brains are good at recognising eyes because eyes are found only on other animals. It is pure speculation, but music may be built on emotions originally evolved to respond to important natural sounds, but which have blossomed a hundred-fold.

 

이 우연의 일부는 많은 자연의 소리가 좋은 이유로 감정(늑대 울음소리에 대한 두려움, 물 흐르는 소리에 대한 즐거움, 우는 아이에 대한 짜증과 모성애)을 초래한다는 사실일 것이다. 자웅 선택의 특징은 보통 이러한 지각의 외곡에 의존한다. 이것은 아마도 우연의 일치가 아닐 것이다. 예를 들어 공작의 꼬리가 눈알 무늬를 가지는 것은 눈은 오직 다른 동물들에게서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동물들이 눈을 잘 인식하기 때문일 것이다. 순전히 추측이지만, 음악은 원래 중요한 자연의 소리에 반응하기 위하여 발달 된 감정을 토대로 만들어 졌으며 그 100배의 꽃을 피웠을 것이다.

 

The truth, of course, is that nobody yet knows why people respond to music. But, when the carol singers come calling, whether the emotion they induce is joy or pain, you may rest assured that science is trying to work out why.

 

물론, 왜 사람들이 음악에 반응하는지 진실은 아직 아무도 알지 못한다. 그러나 캐롤이 들려오면 그들이 유발하는 감정이 즐거움이든 고통이든 간에, 과학이 이유를 밝혀내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