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t 8. Buddhism and Science / probing the Boundaries of Faith and Reason

Unit 8. Buddhism and Science / probing the Boundaries of Faith and Reason

 

Western interest in Eastern religions, expecially Buddhism, historically coincided with the rise of modern science and the corresponding perceived decline of religious orthodoxy in the West. Put simply: Modern science initiated a deep spiritual crisis that led to an unfortunate split between faith and reason-a split yet to be reconciled. Buddhism was seen as an "alternative altar", a bridge that could reunite the estranged worlds of matter an spirit. Thus, to a large extent Buddhism's flowering in the West during the last century came about to satisfy post-Darwinian needs to have religious beliefs grounded in new scientific truth.

서양의 동양 종교, 특히 불교에 대한 흥미는 역사적으로 현대 과학과 동반하여 서양의 전통 신앙의 쇠퇴와 동시에 일어났다. 간단하게 덧붙이자면, 현대 과학은 믿음과 이성 간의 균열을 이끈 깊은 종교적 위험을 시작했으며 이것은 아직 조정되지 않았다. 불교는 "제대의 대체물"로써, 정신과 물질의 세계의 유리를 재통합 할 수 있는 다리로 보였다. 따라서 지난 세기 동안 서양에서 불교의 유입은 새로운 과학적 진실에 근거한 종교적 믿음을 가지고자 하는 후기 진화론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시작했다.

 

As science still constitutes something of a "religion" in the West, the near-absolute arbiter of truth, considerable cachet still attends the linking of Buddhism to science. Such comparison and assimilation is inevitable and in some ways, healthy. At the same time, we need to examine more closely to what extent the scientific paradigm actually conveys the meaning of Dharma. Perhaps the resonance between Buddhism and Western science is not as significant as we think. Ironically, adapting new and unfamiliar Buddhist conceptions to more ingrained Western thought-ways, like science, renders Buddhism more popular and less exotic; it also threatens to dilute its impact and distort its content.

 

서양에서는 아직도 과학이 "종교"의 무엇인가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가장 확실한 진실의 중재인이자 과학을 향한 불교의 유대를 수반하는 봉인이다. 이러한 비교와 융화는 필수적이며 어떤 면에서는 건전하다. 동시에, 우리는 과학의 패러다임이 실제로 불법의 의미를 어느 정도 전달하는지 더욱 자세히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 아마도 불교와 서양 과학 간의 동조는 우리가 생각하는 만큼 상당하지는 않을 것이다. 역설적이게도, 익숙하지 않은 새로운 불교의 개념들을 과학처럼 몸에 밴 서양식 사고방식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불교를 더욱 인기 있고 덜 이국적으로 만들었다. 이것은 또한 영향력을 감소시키고 내용을 왜곡할 우려가 있었다. 세계 2차 대전의 종결 이후부터 역사학자들은 동양과 서양의 만남이 현대의 가장 중요한 사건을 대표한다고 주장해왔다. Bertrand Russell은 그의 글에서 세계 2차 대전의 종말에 일어난 이러한 변화를 지적했다.

Historians since the end of World war , have suggested that the encounter between East and West represents the most significant event of the modern era. Bertrand Russell pointed to this shift at the end of World war when he wrote, 'If we are to feel at home in the world, we will have to admit Asia to equality in our thought, not only politically, but culturally. What changes this will bring, I do not know. But I am convinced they will be profound and of the greatest import!!ance."

"만일 우리가 세계에서 편안하게 느끼게 된다면 우리는 아시아를 단순히 정치적으로만이 아니라 문화적으로도 동등하게 인정해야할 것입니다. 그것이 어떤 변화를 일으킬지 저는 알지 못합니다. 그러나 저는 그 변화들이 뜻 깊고 매우 중요한 것일 거라는 것을 확신합니다."

 

More recently, the historian Arthur Versluis, in a new book, American Transcendentalism and Asian Religions (1993), pieced together five or six major historical views on this subject, and presented this by way of conclusion:

 

더욱 최근에 역사학자 Arthur Versluis 는 그의 신작, 미국의 탁월성과 아시아 종교들(1993)에서 대여섯 가지의 역사적 사건을 이러한 관점에서 종합하여 표현했다:

However much people today realize it, the encounter of Oriental and Occidental religious and philosophical traditions, of Buddhist and Christian and Hindu and Islamic perspectives, must be regarded as one of the most extraordinary meetings of our age... Arnold Toynbee once wrote that of all the historical changes in the West, the most important- and the one whose effects have been least understood-is the meeting of Buddhism in the Occident... And when and if our era is considered in light of larger societal patterns and movements, there can be no doubt that the meeting of East and West, the mingling of the most ancient traditions in the modern world, will form a much larger part of history than we today with our political-economic emphases, may think.

 

오늘날의 많은 사람들이 실감하고 있다고 해도 동방과 서양의 종교와 전통 철학 간의 만남과, 불교와 그리스도교와 힌두교와 이슬람교의 관점의 만남은 우리 시대의 가장 놀라운 만남 중의 하나로 여겨져야 한다. Arnold Toynbee는 서양의 모든 역사적 변화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 그 영향력이 불가사의한 것은 불교와 서양의 만남이라고 서술한 적이 있다. 그리고 만약 이 시대가 거대한 사회적 양식과 운동에 비추어 고려된다면 동양과 서양의 만남, 즉 현대 세상에서 가장 고대의 전통들의 혼합이 오늘날 우리가 정치 경제학적으로 강조하고 예상하는 것보다 역사의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할 것이라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These are not isolated opinions. Many writers, scholars, intellectuals, scientist, and theologians have proclaimed the importance of the meeting of East and West. Occidental interest in the Orient predates the modern era. There is evidence of significant contact between East and West well before the Christian era. Even in the New World, curiosity and interchange existed right from the beginning, as early as the 1700s. One can find allusions to Asian religions in Cotton Mater, Benjamin Franklin, Walt Whitman, and of course, more developed expression!!s in Henry David Thoreau, and Ralph Waldo Emerson.

 

이것은 독립된 의견이 아니다. 많은 작가, 학자, 지식인, 과학자, 신학자들은 동양과 서양의 만남의 중요성을 외쳐왔다. 서양의 동양에 대한 관심은 근대기 이전에 생겨났다. 그리스도교 시대 이전에 동양과 서양의 의미 있는 접촉의 증거가 있다. 신세계에서조차도 호기심과 교역은 1700년대 초창기부터 존재했다. Cotton Mather, Benjamin Franklin, Walt whitman, 그리고 물론 Henry David ThoreauRalph Waldo Emerson의 더욱 발전된 표현의 아시아 종교에 대한 언급도 찾을 수 있다.

 

By the mid-twentieth century this growing fascination with Asian thought led Arnold Toynbee to envision a new world civilization emerging from a convergence of East and West. He anticipated that the spiritual philosophies of Asia would touch profoundly on the three basic dimensions of human existence: Our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social); with ourselves (psychological); and, with the physical world (natural). What is the shape and significance of this encounter? What does Buddhism contribute to the deeper currents of Western thought; and more specifically, to our struggle to reconcile faith with reason, religion with science?

 

20세기 중반까지 이러한 아시아 사상의 매혹은 Arnold Toynbee가 동양과 서양의 접점에서 나타나는 신세계 문명을 마음속에 그리도록 이끌었다. 그는 아시아 정신 철학이 서로와의 관계(친목),(심리)그리고 물질계 (자연)와 같은 인간 존재의 세 가지 기본적 차원 에서 깊이 감동을 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런 만남의 형태와 중요성은 무엇인가? 불교가 서양의 흐름에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신념과 이성, 종교와 과학을 융화시키려는 노력에 대해 어떤 도움을 주었는가?

 

Science was already the ascendant intellectual sovereign when Buddhism made its first serious entry on the American scene In the latter decades of the 19th century. A World's Parliament of Religions, held in conjunction with the 1893 Colombian Exposition in Chicago, brought to America for the first time a large number of Asian representatives of the Buddhist faith. These missionaries actively and impressively participated in an open forum with Western theologians, scientists, ministers, scholars, educators, and reformers. This unprecedented ecumenical event in the American heartland came at a most opportune time. America was ready and eager for a new source of inspiration, exorient lux, the 'light of Asia'.

 

불교가 처음으로 미국에 등장한 19세기 후반 경에는 과학이 이미 떠오르는 지식의 지배자였다. 1893년도 시카고 콜롬비아 박람회와 함께 열린 세계 종교 의회는 미국에 최초로 불교 신앙인 다수의 아시아 대표들을 데려왔다. 이 선교사들은 서양 신학자, 과학자, 성직자, 학자, 교육자, 개혁가들과의 공개 토론에 활발하고 인상적으로 참가했다. 이런 전례가 없는 미국 핵심 지역에서의 사건은 적절한 시기에 발생했다. 미국은 새로운 영감의 소재, '아시아의 빛'에 대한 준비가 되어있으며 그것을 열망하고 있었다.

 

By the 1890s America was caught in the throes of a spiritual crisis affecting Christendom worldwide. Modern scientific discoveries had so undermined a literal interpretation of sacred scripture, that for many educated and thoughtful people, it was no longer certain that God was in his heaven and that all was right with the world. These rapid changes and transformations in almost every aspect of traditional faith, had such irreversible corrosive effects on religious orthodoxy, that they were dubbed, "acids of modernity." They ate away at received convictions, and ushered in an unprecedented erosion of belief. People like my grandparents, brought up with rock-solid belief in the infallible word of God, found their faith shaken to its very foundations. It was as if overnight they suddenly awoke to a new world governed not by theological authority but by scientists. New disclosures from the respected disciplines of geology, biology, and astronomy challenged and shattered Biblical accounts of the origins of the natural world and our place and purpose in it.

 

1890년대 미국은 전 세계 기독교에 영향을 미치는 종교 위기가 한창이었다. 현대의 과학적 발견들은 성스러운 성서의 해석을 위태롭게 했고 교육을 잘 받은 생각 있는 사람들에게 신이 천국에 있으며 세상에서 모든 것이 올바르다는 것은 더 이상 분명하지 않았다. 이러한 갑작스러운 변화와 거의 모든 전통적 믿음의 국면에서의 변질은 전통적 종교적 믿음을 좀먹는 영향을 끼쳤으며 그들은 이것을 "현대적 산"이라고 불렀다. 이것들은 기준이 되었던 확고한 믿음을 부식시키고 전례가 없는 신앙의 쇠퇴를 예고했다. 나의 조부모님들 같은 사람들은 신의 확실한 말씀에서 신앙을 키웠으며 그들의 믿음이 다름 아닌 그것을 근거로 흔들렸음을 깨달았다. 그것은 마치 하룻밤 사이에 신학적 권능이 아닌 과학자들에게 지배당하는 신세계에서 갑작스레 눈을 뜬 것과 같았다. 지질학, 생물학, 천문학 등 높이 평가되는 학문에서의 새로운 발표들은 성서에서의 자연 세계와 우리의 공간, 그리고 목적에 대한 설명에 도전하고 파괴했다.

 

Sigmund Freud captured the spirit of the age well when he said "the self-love of mankind has been three times wounded by science." The Copernican Revolution, continued by Galileo, took our little planet out of the Universe, was reduced to a tiny speck revolving around a sun. Then Darwin all but eliminated the divide between animal and man, and with it the "special creation" status enjoyed by humans. Darwin, moreover, diminished God. The impersonal forces of natural selection kept things going; no divine power was necessary. Nor, from what any competent scientist could demonstrate with any factual certainty, was any Divinity even evident- either at the elusive "creation," or in the empirical present. Karl Marx people portrayed people as economic animals grouped into competing classes driven by material self-interest. Finally, Freud himself characterized religious faith as an evasion of truth, a comforting illusion sustained by impulses and desires beyond the reach of the rational intellect. Nietzsche's famous declaration that "God is dead" may have seemed extreme, but few would have denied that God was ailing. And certainly the childhood version of a personal, all-powerful God that created the world and ruled over it with justice and omniscience was for many a comforting vision lost forever.

sigmund freud"인류의 자기애는 과학에 의해 세 차례 상처 입었다."라고 표현하며 그 시대의 정신을 잘 포착했다. 획기적인 혁명은 갈릴레오에 의해 계속되었으며 우리의 작은 행성을 우주의 중심에서 끌어냈다. 우주의 물리적, 형이상학적 중심에 놓여있던 지구는 태양의 중심을 도는 작은 덩어리로 전락했다. 그 후 다윈이 동물과 인간 사이의 구분과 함께 "특별한 창조물"의 지위를 거의 제거했다. 더욱이 다윈은 신의 권위를 떨어뜨렸다. 비인격적인 자연 선택의 힘을 모든 것을 계속하게 했으며 어떤 신성한 힘도 필요하지 않았다. 또한, 사실에 입각한 확실성을 가지고 증명하는 어떤 과학자들에게도 신이 분명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창조"와 경험적인 존재에 대해서도 그러했다. Karl Marx주의의 사람들은 사람을 물질적 이기심에 의해 생겨나는 갈등 계급을 통해 무리 짓는 경제적 동물로 묘사했다. 결국 Freud 자신은 종교적 믿음을 진실의 회피, 합리적 사고의 범위를 넘어선 충동과 갈망에 의해 지속되는 위안을 주는 환상으로 간주했다. 니체의 유명한 "신은 죽었다."라는 선언은 과격해보일지 모르나, 신이 침체했다는 것을 부인할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그리고 세계를 창조하고 정의와 전지전능함으로 다스려왔던 초기의 인격적이며 전능한 신의 해석은 영원히 사라진 견해가 되었다.

 

One of the lingering side effects of this loss has been the unfortunate disjunction of matter and spirit that afflicts the modern age. It can assume many forms: a split between matter and spirit, a divorce between faith and reason, a dichotomy between facts and values. At a more personal level, it manifests as a mind-body dualism. An unwelcome spiritual and psychological legacy from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it is still very much with us today, something that haunts our psyches.

 

이러한 상실의 오래된 부작용 중 하나는 근대기를 괴롭혔던 물질과 정신의 분열이었다. 이런 분열은 물질과 정신 사이의 분열, 신앙과 이성의 분리, 사실과 가치의 분열과 같은 다양한 형태를 취한다. 좀 더 개인적인 차원에서 보면, 심신의 이원성으로 나타난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의 정신적, 심리적 유산은 오늘날에도 우리와 많이 관계하며 우리의 정신에 자주 출몰한다.

Much of today's near-obsession with therapy in the West, and even the shift toward psychologistic religion (including the "New Age" phenomenon) could be seen as attempts to heal this deep sense of alienation. The pragmatic philosopher, John Dewey, wrote: "The pathological segregation of facts and value, matter and spirit, or the bifurcation of nature, this integration [i. e. the problem of integrating this] poses the deepest problem of modern life." This problem both inspirers and confounds contemporary philosophy and religion. Wholeness eludes us while the split endures; and yet, almost tragically, the very means we have available to heal it insure its continuation. For, all of our philosophies, academic disciplines, therapies, and even religious traditions are informed by and rooted in aspect of this dualism. Perhaps the most visible expression!! of this pathological segregations is the gap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오늘날 서양에서 치료 요법에 대한 유사 강박관념의 대부분과 심지어 심리학적 해석을 하는 종교에 대한 변동(new age 현상을 포함한)까지도 이러한 깊은 단절감을 해결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실용주의 철학자인 존 듀이는 이렇게 저술했다. "사실과 가치, 물질과 정신의 병리적 격리 혹은 자연의 분기, 통합(, 이러한 문제들의 통합)은 현대 삶의 가장 깊은 문제점을 제기한다." 이 문제점은 현대 철학과 종교를 고무하며 또한 혼란에 빠뜨린다. 균열이 지속되는 동안에는 전체가 인지되지 않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극적으로 이것은 우리가 이것의 지속을 보증하는 가능성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철학과 학문, therapies, 종교적 전통 조차도 이러한 이중성의 측면에 뿌리를 내리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아마도 병리적 분열의 가장 명백한 표현은 과학과 종교의 단절일 것이다.

 

Thus, when the eminent philosopher and mathematician Alfred North Whitehead scanned the broad outlines of our time, he wrote: "The future course of history would center on this generation's resolving the issue of proper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so fundamental are the religious symbols through which people give meaning to their lives and so powerful the scientific knowledge through which we shape and control our lives." And it is in regard to this troubling issue, I think, that Eastern religions, particularly Buddhism, are seen to hold out the promise of achieving some resolution. The idea dates back over a hundred years.

 

따라서 저명한 철학자이자 수학자인 앨프리드 화이트헤드가 우리 시대의 넓은 윤곽을 살필 때 그는 이렇게 서술했다. "앞으로 역사의 추세는 과학과 종교간의 적절한 관계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할 것이며 따라서 기본 원리는 사람들이 삶의 의미를 부여하는 종교적 상징을 통할 것이며 우리의 삶을 형성하고 통제하는 과학적 지식을 통해 강력해질 것이다." 그리고 내 생각에, 동양의 종교 중 특히 불교는 문제점들에 대한 개혁의 성취에 대해 약속을 지속하는 것을 보일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100년 이상을 거슬러 올라간다.

After the 1893 Chicago Parliament of World Religions, one Paul Carus, a Chicago-based editor of the Open Court Press, invited some of the influential Japanese Buddhist delegates to a week-long discussion at the home of Carus's father-in-law. Both deeply felt the spiritual crisis of the times. Both were trying to reform Christianity to bring it in line with current thought; in short, to make religion scientific. It occurred to them that Buddhism was already compatible with science, and could be used to nudge Christianity in the same direction. Toward this end, Carus wanted to support a Buddhist missionary movement to the United States from Asia. His thinking was to create something of a level playing field. Carus had witnessed the most ambitious missionary undertaking in modern history that send thousands of Protestant missionaries abroad to convert the people 'sitting in darkness.' He wished to conduct a Darwinian experiment of 'survival of the fittest.' His goal: to bring Buddhist missionaries to America where they could engage in healthy competition with their Christian counterparts in the East, and thus determine the "fittest" to survive.

 

1893년에 세계 종교의 시카고 의회가 끝난 후에, 시카고 공개 법정 출판물의 편집장이었던 Paul Carus는 그의 장인의 집에서 열린 일주일간의 토론에 영향력 있는 일본 불교도를 몇 명 초청하였다. 둘은 그 시대의 정신의 위기를 깊이 통감했다. 둘은 그리스도교를 통례의 사고와 조화시키기 위해 개혁하려고 했다. 다시 말해, 종교를 과학적으로 만들려 했다. 그들의 머릿속에 불교가 이미 과학과 양립할 수 있으며 그리스도교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데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떠올랐다. 말경에 Carus는 아시아로부터 미국으로 불교의 선교 활동을 지지하기를 원했다. 그의 생각은 공정한 경쟁의 장을 만들어내는 것이었다. Carus'어둠 속에 앉아있는' 사람들을 바꾸기 위해 수천의 프로테스탄트 선교사들을 해외로 보낸 근대기의 가장 야심적인 선교활동을 목격했다. 그는 '적자생존'이라는 다윈적 실험을 행하기를 기원했다. 그의 목표는 이러했다. 불교의 선교사들을 그리스도교 상대자들과의 건전한 경쟁에 참가할 수 있는 미국에 보내고 살아남기 위한 "적자"를 결정한다.

 

With the aid of his wealthy father-in-law who put up money, they sponsored a number of Eastern missionaries to the United States: Anagarika Dharmapala, from what was then Ceylon, now Sri Lanka; Swami Vivekananda, from India representing the Ramakrishna Vedanta movement; and Soyen Shaku, a Japanese Buddhist monk, and Shaku's young disciple D.T. Suzuki. During his stay in the United states in the late 1890s and early 1900s, suzuki lived in the small town of LaSalle/Peru, Illinois. He was in his twenties then, and for about eleven years he worked closely with Paul Carus translating Buddhist texts into English and putting out inexpensive paperback editions of the Asian classics.

 

자금을 대주는 부유한 장인의 도움으로 그들은 미국으로 향하는 수많은 동양의 선교사들을 후원했다. 현재 스리랑카인 실론섬의 Anagarika Dharmapala, ramakrishna vedanta 운동을 대표하는 인도의 Swami vivekanada, 그리고 일본의 불교 수도승, soyen shakushaku의 젊은 제자인 D,.T.Suzuki등이 있다. 1890년대 후반부터 1900년대 초반까지 미국에서 머무는 동안 Suzuki는 일리노이스의 Lasalle/peru의 작은 마을에서 살았다. 그는 그때 당시 20대였고 약 11년 간 불전을 영어로 번역하고 아시아의 고전을 저렴한 페이퍼백으로 편찬하면서 Paul Carus와 근접하게 일했다.

Suzuki later became the leading exponent of Zen in the West, when he returned in the 1950s on a Rockefeller grant to lecture extensively at East Coast colleges. He influenced writers and thinkers like Carl Jung, Karen Horne, Erich Fromm, Martin Heidgger, and the "beat Buddhists" -Jack Kerouac, Alan Ginsberg, and Gary Snyder. Suzuki died in 1966 in Tokyo. His influence in the West was profound-making Zen an English word, translating Asian tests into English, stimulating a scholarly interest in the Orient among American intellectuals, and eddpening American respect and enthusiasm for Buddhism. The historian Lynn White Jr. praised Suzuki as someone who broke through th e"shell of the Occident" and made the West's thinking global. His introduction to the West came about through the hands of Paul Carus.

 

suzuki는 이후, 1950년대에 록펠러가 동부 연안 대학에서 널리 강의를 허가하여 돌아왔을 때 서양에서 손꼽히는 선종의 대표자가 되었다. 그는 Carl Jung, Karen Horney, Erich Fromm, Martin Heidegger"비트 운동가"인 잭 케루악, 알렌 긴즈버그, gary snyder과 같은 작가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suzuki는 도쿄에서 1966년에 타계했다. 서양에 그가 준 영향은 뜻 깊다. 선을 영어로 만들고, 아시아의 문서들을 영어로 번역하며 미국의 지성인들에게 동양에 대한 학구적 흥미를 자극했으며 불교에 대한 미국인의 존중과 열의를 심화시켰다. 역사가 Lynn White Jr.suzuki"서양의 껍질"을 돌파하고 서양의 사고를 전 세계적으로 만든 인물로 그를 평가했다. 서양에 그의 소개는 Paul Carus의 손을 통해 이루어졌다.

 

These early missionaries of Buddhism to the West, including Carus himself, all shared the same modern compatible and resonant with the scientific and progressive spirit of the Age. They selected passages of text to favor that slant, and carefully presented the Buddhist teachings in such a way as to appeal to modern sensibilities-empirical, rational, and liberal. Americans wanted religion to "make sense," to accord with conventional wisdom.

 

carus 자신을 포함한 서양으로의 불교 전도사들은 모두 같은 근대적, 혁신적 견해를 함께했다. 그들은 불교를 과학적이며 진보적인 시대정신과 동조할 수 있고 양립할 수 있는 수단과 메시지로 변화시켰다. 그들은 그러한 관점을 지지하기 위한 글을 선택하여 경험적이고 이성적이며 자유적인 근대의 감각에 호소할 수 있는 방식으로 신중하게 불교의 가르침을 전했다. 미국인들은 일반 통념과 조화하기 위해 종교가 "사리에 맞기를" 바란다.

 

Then, as now, our primary mode of making sense of thins was positivist- reliable knowledge based on natural phenomena as verified by empirical sciences. So firmly entrenched is the scientific outlook that it has for all practical purposes taken on a near-religious authority. Few, then or now, critically question our faith in science; we presume its validity and give it an almost unquestioned place as the arbiter of truth.

지금처럼 당시에도 우리의 사물을 이해하기 위한 주요한 형태는 경험적 과학에 의해 입증된 자연 현상에 기초한 믿을 수 있는 지식, 바로 실증주의였다. 그러므로 확고하게 지켜온 것은 종교와 유사한 권능에 주어진 실용적 목적을 가진 과학적 견해였다. 그때나 현재에 과학에 대한 믿음에 대해 비판적으로 질문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우리는 그것의 타당성을 추측하며 진실의 중재자로서의 명백한 자리를 내어준다.

 

Thus, the early missionaries of Buddhism to America purposely stripped Buddhism of any elements that might appear superstitious, mythological, even mystical. Dharmapala, Suzuki, and Vivekananda clearly ascertained that Americans measured truth in science, and science posed little theological threat to a Buddhist and Hindu worldview. After all, Buddhism had unique advantages for someone who rejected their faith (Christian) due to its authoritarianism and unscientific outlook:

1) Buddhism did not assert or depend upon the existence of a God

2) Buddhism was a superstition-free moral ideal; it conformed to the scientific view of an ordered universe ruled by law (karma)

3) Buddhism posited no belief in gods who could alter the workings of this natural law

4) Buddhism was a religion of self-help with all depending on the individual working out his/her own salvation

5) "Original" Buddhism was seen as the "Protestantism of Asia," and Buddha as another Luther who swept away the superstitions and rituals of an older, corrupted form and took religion back to its pure and simple origins.

6) Buddhism presented an attractive personal founder who led life of great self-sacrifice; parallels were drawn between Jesus and Buddha as the inspiration of a personal figure exerted strong appeal to seekers who had given up on theology and metaphysics.

따라서, 미국으로 보내진 초기 불교 선교사들은 불교에서 미신적, 신화적, 심지어 신비하게 보이는 어떤 요소라도 제거했다. Dharmapala, suzuki 그리고 vivekanada는 미국인들이 진실을 과학 속에서 평가하며 과학은 불교와 힌두교적 세계관에 대해 신학상의 위협을 제기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다. 결국 불교는 그것의 권위주의와 비과학적인 견해로 인해서 믿음에 반대하는 이들에 비해 이점이 있었으며:

1) 불교는 신의 존재에 대해 단언하거나 의지하지 않았고

2) 미신에서 벗어난 도덕관념을 가졌기 때문에 법칙에 의해 통제되고 정돈되어 있으며, 신의 간섭 없이 방대한 시간 동안 스스로 작용한다는 과학적 관점에 부합했다.(업보)

3)불교는 자연의 법칙의 작용을 변경할 수 있는 신에 대한 믿음을 가정하지 않았다.:4) 불교는 자신의 구원을 가져오는 데 모든 것을 개인에게 의존하는 자기 수양적인 종교였다.

5) "원조" 불교는 "아시아의 프로테스탄트주의"로 보였으며 부처는 미신과 의식적 행사, 타락한 형식을 타파하고 종교를 본래의 순수하고 단순한 기원으로 되돌린 또 다른 루터처럼 보였다.

6) 불교는 자기희생의 삶을 이끄는 매력적인 창시자를 제시한다. 신학과 형이상학을 포기한 구도자에게 강력한 힘을 행사한 인격적인 인물로서, 예수와 부처 간에는 유사점이 보인다.

Thus, Buddhism was packaged and presented in its most favorable light viz a viz the current spiritual crisis in the West; and, not surprisingly, Buddhism seemed immensely reasonable and appealing to Americans. Dawinism might be undermining Biblical Christianity, but in only enhanced Buddhism's standing. In fact, Darwin's theory of evolution, which struck the most severe blow to the Judaeo-Christian edifice, was taken up as the leading banners for Buddhist propagation. With Darwin the concept of evolution became enshrined in the popular mind. Everything was evolutionary-species, races, nations, economies, religions, the universe-from the micro to the macro. Social Darwinists even saw evolution operating behind the vicissitudes of free-market capitalism. As the constant interaction of stimulus and response in nature, evolution seemed to match nicely with the notion of karma- the cyclical unfolding of events governed by the law of cause and effect. So Anagarika Dharmapala could announce in Chicago to his largely Judaeo-Christian audience that "the theory of evolution was one of the ancient teaching of the Buddha." As it was in nature (at least in the new natural world of Darwin), so it was in the Buddhist universe.

따라서 불교는 서양에서 통용되는 정신적 위기 속에서 포장되고 소개되었다. 그리고 불교가 미국인들에게 호소하면서 매우 이성적으로 보였음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다윈주의는 성서적인 그리스도교를 헤쳤을지 모르나 불교의 입지는 강화시킬 뿐이었다. 사실, 다윈의 진화론은 유대-그리스도교의 체계에 가장 혹독한 타격을 주었으며 불교의 전파의 지도적 기치로서 이용되었다. 다윈과 함께 진화의 개념은 민심에 남았다. 생물의 종, 인종, 국가, 경제, 종교, 세계처럼 아주 작은 것에서부터 아주 큰 것까지 모든 것은 진화적이다. 사회 다윈주의자들은 심지어 진화가 자유 시장 자본주의의 변화의 배후에서 작용한다고 보았다. 자연 속에서 지속적인 자극과 반응의 상호작용으로서 진화는 인과의 법칙에 의해 지배되는 사건들의 순환적인 전개, 업보의 개념과 매우 일치한다. 그러므로 anagarika Dharmapala는 시카고에서 유대-그리스도교 관중들에게 "진화의 개념은 부처의 고대의 가르침 중 하나입니다."라고 전할 수 있었다. 이것은 자연 속에(최소한 다윈의 새로운 자연 세계 속에) 있었기 때문에 불교의 우주에도 속했다.

 

Most people drawn to Eastern religions did not examine very closely the supposed identity of Darwin's evolution and the Buddhist concept of karma. They were content, even predisposed, to imagine them the same. Buddhist ardent to convert Americans to Buddhism, as well as Christians eager to find some correspondence between modern science and their beleaguered faith, were happy to say, "Yes, the similarities are close enough; look, how the ancient Eastern religions anticipated our modern science!" Vivekananda, the charismatic and eloquent Ramakrishna delegate from India, met only hurrahs of affirmation when he proclaimed to a chicago audience that the latest discoveries of science seemed "like the echoes form the high spiritual flight of Vedantic philosophy."

 

동양의 종교에 이끌린 대부분의 사람들은 다윈의 진화와 불교의 업보의 개념의 동일성을 자세히 고찰하지 않는다. 그들은 만족하였으며 심지어는 그 둘을 동일하게 생각할 정도가 되었다. 미국인들을 불교도로 바꾸는데 열심인 불교도들은 근대 과학과 사면초가에 빠진 그들의 믿음 간의 일치함을 찾기 위해 열심인 그리스도교들과 마찬가지로 기꺼이 말한다. ", 유사점들은 충분히 밀접해있습니다. 동양의 종교가 현대 과학을 어떻게 예견하고 있었는지 보십시오!" 인도의 카리스마적이며 웅변에 능한 ramakrishna 사절단인 vivekananda는 시카고의 관중들에게 과학의 최후의 발견들은 "베다 철학의 높은 정신적 비약으로부터 나오는 메아리와 같다"라고 선언했을 때 지지의 환호소리를 들었을 뿐이다.

 

This facile view that Buddhism and science were ut of the same cloth accorded nicely with the longing to reconnect the sacred and the secular. It held out hope that religion could once again assume its rightful place alongside(if no longer in the lead of) the emerging disciplines of biology, geology, and physics. It also fit neatly with the presumed "unity of truth" that Victorians held to so dearly-there could only be one truth, not two. The very nature of reality demanded that the truths of science and religions be one and the same. Carus called his new system of thought "the Religion of Science," and Max Muller called his new theology "the Science of Religion."

 

불교와 과학이 매우 똑같다는 편리한 생각은 신성성과 세속을 재연결하고자 하는 열망과 잘 맞아떨어졌다. 이는 종교가 생물학, 지리학, 물리학의 신흥 학과들과 나란히 다시 한 번 그에 걸맞는 위치를 찾을 거라는 희망을 심어준다. 또한, 이는 빅토리아 여왕 시대의 사람들이 극진히 고수하던 "진실의 통합" , 진실은 둘이 아니며 오직 하나 뿐일 수밖에 없다는 통념과 깔끔하게 일치했다. 사실의 본질은 과학과 종교의 진실이 하나이며 동일하기를 요구했다. Carus는 그의 새로운 사고 체계를 "과학의 종교"라고 불렀으며 Max Muller는 그의 새로운 신학이론을 "종교의 과학"이라고 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