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칵테일] 2014년 조주기능사 표준 레시피와 시험 팁!!!

반응형

etc-image-0



조주 기능사를 딴 지 벌써 7년이 지났습니다.


잘 몰랐는데 국각기술자격 표준레시피가 공개되었더군요. 


수험생들의 혼란을 피하기 위한 방편으로 생각되며 매우 반가운 소식임에 틀림이 없어 보입니다.

체점의 명확한 근거가 되기도 하고요.



첨부팡일은 산업인력공단에서 발표한 자료 입니다.



etc-image-1



실기시험 간단 팁!



레시피 외우기


각 레시피를 엑셀파일로 만들어 글라스별, 기주별, 조주법별, 가니쉬 유무별 등등으로 나눠서 외우는 연습을 하시면 혼란을 줄이면서 공부 할 수 있을 겁니다. 크로스 체크를 해가며 빨리 외울수도 있고요.



실전 실기 팁 1


경험 상 실기장에서 만들려고 하면 손이 벌벌 떨리면서 당황하게 됩니다.


과제가 공개되고 시작되면 무작정 하기보단 

"기주 체크->조주법 체크->글라스 체크->가니쉬 체크" 단계를 다 마치고 조주를 시작하시면 됩니다.

레시피를 외울때도 항상 저 순서대로 하시고요.

 

기본적으로 저 4개가 외워지지 않으면 점수가 엄청 깎입니다.

중간 중간 실수는 못 볼 수도 설사 틀렸다고 해도 경미한 감점이지요.



실전 실기 팁 2


'용량을 일일이 다 외워야 되?',

'몇 온즈식인지 다 알아야 되는 건가?'

라고 생각하시겠지만 의외로 간단합니다.


술이나 리큐르 등등 가니쉬를 재외한 재료가 

3개가 들어간다면 전체 용량의 1/3씩, 2개가 들어간다면 1/2씩, 하나가 들어간다면 전체용량만큼! 

넣으시면 됩니다. (물론 맛을 떠나서 실기 전용 꼼수 입니다..전문적인 바텐더가 된다면 각자의 취향에 맞게 하셔야 겠죠)


단 얼음이 들어가고 쉐이킹을 하는 경우 전체 볼륨이 늘어나니 각 각 조금씩 줄이면 되고요.

확실한 것은 표준레시피를 보면 알아 차릴 수 있듯, 전체 용량대비 얼마를 넣어라고만 가이드 하고 있습니다.


레시피를 외우실 때 기본적인 체크방법, 순서에 따라 외우시고 그 뒤에 어떤 세부재료가 들어가는지 파악만 제대로 하시면 

각 칵테일 별 세부 재료의 양은 무리해서 외우시지 않아도 충분히 만들 수 있습니다. 설사 정확하게 외운다고 하더라도 정확히 되지도 않고요.


etc-image-2


칵테일이란 결국 자신의(또는 손님의, 파트너의) 취향에 맞게 각 재료를 잘 혼합하여 함께 음미하는데 의미가 있습니다.

국가 시험의 특성상 어쩔 수 없이 표준 레시피를 공개하는 것이고요.

시험 이전에 '이 한잔의 칵테일을 어떻게 표현하는 것이 정확한 것인지', '어떤 재료를 조화롭게 사용해서 만들어야 할까'에 대한 생각을 한번씩 해 보고 접근하신다면 더 잘 와닿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모두 즐거운 칵테일 만들기 시간을 가졌으면 합니다!


ps. 실기 연습할 때 소주병이나 아무 병에 진, 럼, 위스키 등등 매직으로 적어두고 물 채운 다음에 하시면 됩니다.(어쩔 수 없는 경우)

군대 안에서 당직끝나고 옥상으로 올라가 물병으로 연습하던 때가 생각나네요 : )


 



etc-image-32014년 조주기능사 표준 레시피 공개.pdf



반응형